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3연임 확정 전인대서 만장일치 재선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0일 국가주석직 3연임을 공식 확정했다.
국가주석 3연임은 중화인민공화국 역사상 처음이다.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4기 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표결을 거쳐 만장일치로 국가주석에 선출됐다.
이날 표결에는 전인대 대표 2977명 중 2952명이 참여했다.
시 주석의 국가주석 재선출에 대한 반대나 기권은 1표도 나오지 않았다.
시 주석은 앞서 2018년에도 전인대 표결에서 만장일치로 국가주석에 연임했었다.
시 주석이 2013년 국가주석에 처음 선출될 당시에는 반대 1표와 기권 3표가 있었다.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리커창(왼쪽) 국무원 총리가 2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 폐막행사에 참석해 앉아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시 주석은 이날 국가주석에 재선출됨으로써 3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국가주석이 3연임을 한 사례는 시 주석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앞서 2018년 국가주석 임기를 2연임까지로 제한한 헌법을 고쳐 3연임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 주석은 이날 만장일치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도 다시 맡았다.
지난해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공산당 총서기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재선출된 데 이어 이날 국가주석과 중앙군사위
주석직 연임을 확정함으로써 당·정·군을 모두 장악한 명실상부한 중국 최고 지도자로서의 입지를 재확신시킨 것이다.
이날 전인대 전체회의에서 국가부주석으로는 한정(韓正) 현 상무부총리가
선출됐다. 중국 내 권력 서열 3위인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자오러지(趙樂際)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맡았다. 두 사람 역시 이날 표결에서 모두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전인대는 11∼12일 4∼5차 전체회의를 열어 국무원 총리와 부총리 등 주요
내각 인선을 마무리한다. 시 주석 집권 3기가 본격적으로 막을 올리게 되는 것이다.
시진핑의 누구인가?
시진핑 주석(이하 직함 생략)은 후진타오의 뒤를 이은 중국의 제6대 최고지도자, 제7대 국가주석이자 제5대 중국 공산당 총서기다. 중국의 급격한 성장을 주도한 인물로 이야기되는 그는 작년, 국가주석의 임기 철폐 개헌으로 사실상의 종신 집권을 선언한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독재자’이기도 하다. 집권 초기만 하더라도 소극적인 정책과 모험을 하지 않는 성격으로 인해 지도력에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온 시진핑은 현재, 중국의 1인 독재, 우상화 체제를 부활시키며 역대 중국 지도자들 중 가장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는 인물이 되어 있다.
1953년 6월 15일 베이징에서 태어난 시진핑은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한 개혁주의자
‘시중쉰’과 그의 아내 ‘치신’의 2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시중쉰은 중국 공산당
1세대 원로 가운데 젊은 축에 속하던 인물로, 13세부터 혁명에 투신한 인물이었다.
국공내전의 서북전장에서 공을 세운 시중쉰은 1949년 공산당이 정부를 수립할 때
서북 5개 성의 당, 정, 군을 모두 맡게 된다. 능력을 인정받은 시중쉰은 1950년대에
이르러 베이징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 중앙선전부에서 공직을 맡았으며,
시진핑도 이 무렵에 태어나게 된다. 시진핑의 이름인 ‘핑’은 당시 베이징의 명칭이었던
베이핑에서 따 온 것으로 전해진다.
혁명가 집안의 자제로 시진핑은 모자람 없는 유년기를 보냈다.
베이징 중심의 엘리트층이 다니던 교육시설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다른 혁명가 집안의 자제들과 어릴 때부터 친분을 쌓았다.
하지만 그의 유복한 유년기는 문화대혁명으로 변화를 맞게 된다.
시중쉰이 검수를 맡은 소설이 반동분자로 찍힌 인물을 미화했다는
의혹을 받으면서, 부총리 직위에서 해임을 당하게 된 것이다.
집은 몰수됐고 다니던 학교는 고위 간부 자제 학교라는 이유로 해산됐으며,
시진핑의 이복누이였던 시허핑은 홍위병에게 두들겨 맞다가 이를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기도 했다. 결국 농촌으로 좌천된 시중쉰을 따라, 시진핑
또한 베이징에서 추방돼 어려움을 겪으면서 불행한 시절을 보내게 된다.
시중쉰이 반동분자로 내몰린 이유로 인해 시진핑은 공산당에 입당할 수가 없었다.
공산주의청년당에 가입하기 위해 8번의 시도를 거쳐야 했으며, 공산당 입당 신청은
10차례 퇴짜를 맞은 끝에 문화대혁명의 열기가 가라앉은 1973년에야 겨우 입당할
수 있었다. 입당 후 공농병 청강생으로 선발돼 칭화대 화학공정과에 입학한 시진핑에게
1978년, 다시 한 번 인생의 전환기가 찾아오게 된다. 마오쩌둥이 세상을 떠나고
지도층이 바뀌면서 좌천 이래 16년을 야인으로 보내던 부친 시중쉰이 다시금
베이징으로 돌아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상무위원을 맡게 된 것이다.
'일일뉴스정보 소식 > 중국관련 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진핑 중국대만 전쟁나나? “대만독립 결연반대…조국통일 추진” (0) | 2023.03.13 |
---|---|
벚꽃 구경하기 좋은 장소 중국 상하이 벚꽃 지도 봄철나들이 데이트코스 3월 (0) | 2023.03.11 |
2022년 중국 상위 10대 기업 관련 리스트 및 정보 (0) | 2023.03.08 |
2023년 8대 IT관련 과학 기술 트렌드 정리 (0) | 2023.03.08 |
3월6일 중국 헤드라인 뉴스 (0)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