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만하고 아름다운 삶은 선택할 줄 아는 사람은?
위대한 철학자 플라톤이 스승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이 무엇인지 물어봤다.
소크라테스는 먼저 밀밭에서 가장 크고
황금빛색인 밀 이삭을 찾아오라고 했다.
플라톤은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했더니 빈손으로 밀밭에서 나왔다.
선생님이 왜 못 따냐고 물어봤더니 플라톤은
"한 번만 딸 수있기 때문에 중간에 크고 황금색인 밀 이삭이 보여도
앞에 더 좋은 것이 있는지 몰라서 따지 않았다.
다 끝난후 ,원래 가장 크고 황금빛이었던 밀 이삭은
이미 놓쳤다는 것을 알게되어 결국 아무것도 따지 못했다"고 말했다.
소크라테스는 이것이 바로 사랑이라고 했다.
지나치게 완벽한 사랑을 추구하기위해 걸어가는 과정에서
앞날을 예측할 수 없고 과거를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완벽하기 어렵다.
이것이 바로 밀 이삭의 원리이다.
진정 사랑은 이성적이어야 한다.
사랑을 찾으려면 사실구시적인 태도로 목표를 세운다.
예를 들어 이야기 속의 플라톤은'무엇이 가장 크고 황금빛인 밀 이삭인가?'에
대해서 정의는 모호한다. 왜냐하면 그는 실제 상황과 일치하는 기준을 무시하기 때문이었다.
항상 현재보다 뒤에 더 좋은 것이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항상 그랬다 .제일 좋은 것이 없고 더 좋은 것이만 있으며
그런 것 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알맞은 것이다. 만약 그가 밀밭에
들어갈 때 마음속에서 기준을 정하고 눈앞에 있는 밀 이삭을 몇개
본 후, 본 것을 따라서 기준을 조정하고, 그의 요구에 맞는 밀
이삭을 찾아서 바로 밀밭에서 나오면, 그는 그의 마음속에서 가장 크고 황금빛인 밀 이삭을 찾아냈다.
사랑에 대한 완벽한 동경을 갖게 하면 좋지만 현실에서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상상을 현실로 구체화한다.
즉,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게 만들어 노력하는 것은 더 좋을 것이다.
'심리 관련 > 연애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남자 구별법과 대처 예방은? 독이 되는 사랑에서 벗어나자! (1) | 2024.01.16 |
---|---|
첫 데이트 성공을 위한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색상은? (0) | 2024.01.10 |
커플사이에 선물을 주는 것에 대한 심리적 관계 (0) | 2023.02.28 |
부부싸움, 연인싸움에 대해 사랑은 지속해서 항상 낭만적일 수 있을까? (0) | 2023.02.23 |
여자가 좋아하는 남자에게 보이는 행동 무엇일까? (0) | 2023.02.17 |
댓글